본문 바로가기

한국 근현대사/산업화와 민주화의 시대 (1960~1999년)

(10)
5·16 군사정변 1. 군사정변의 배경과 군 내부의 분열1961년 5월 16일, 박정희 소장을 중심으로 한 일부 군부 세력이 대한민국 정부를 전복시키는 군사정변을 감행했다. 이들은 당시 정부가 사회 혼란과 경제적 불안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다고 주장하며, 군이 나서서 국가를 개혁해야 한다는 논리를 앞세웠다. 그러나 군 내부에서는 이에 대한 찬반이 극명하게 갈렸다.군부 내 일부 장성들은 민주주의를 수호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쿠데타에 반대했으며, 특히 육군본부와 일부 국방부 인사들은 군이 정치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강조했다. 하지만 반대로 박정희를 비롯한 소장파 장교들은 정부의 무능을 비판하며 강경하게 군사정변을 추진했다. 이러한 의견 차이는 군 내부의 심각한 갈등을 불러일으켰고, 일부 장교들은 마지막까지 쿠데타 가담..
1960년 3·15 부정선거와 4·19 혁명의 숨겨진 이야기 1. 3·15 부정선거의 배경과 이승만 정권의 집권 연장 시도1960년 3월 15일, 대한민국에서는 제4대 정·부통령 선거가 치러졌다. 그러나 이 선거는 민주주의를 훼손한 대표적인 부정선거로 기록되었다. 당시 이승만 대통령은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12년 동안 권력을 유지하고 있었고, 자신의 장기 집권을 위해 선거 조작을 감행했다. 특히 자유당 정권은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해 조직적인 부정행위를 저질렀다.투표소에서는 공무원과 경찰이 개표를 조작하거나, 유권자들에게 투표용지를 빼앗아 특정 후보에게 몰표를 주는 등 노골적인 선거 개입이 이루어졌다. 심지어 투표를 거부한 유권자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야당 후보 지지자들에게 협박을 가하는 일도 빈번했다. 결국 선거가 끝난 후, 이승만은 대통령으..